서문: 소개를 소개하는 전시를 소개하며
『© 2025 (소개를 소개하는) 민구홍 매뉴팩처링』은 민구홍 매뉴팩처링 운영자 민구홍의 창작 세계를 탐구하는 이동형 전시입니다. 민구홍은 컴퓨터를 단순한 도구 그 이상으로 다루며, 지난 10년 동안 1인 실험실이자 기생적 스튜디오인 민구홍 매뉴팩처링을 통해 실험적이고 코드 기반이며 웹에 뿌리를 둔 작업을 꾸준히 선보여왔습니다.
민구홍 매뉴팩처링의 제품은 대부분 온라인상에 존재합니다. 그것은 웹사이트, 디지털 인터페이스, 스크린 기반 경험의 형태로 구현되며, 그는 코드에 대한 집착과 셀프 퍼블리싱에 대한 집념으로 그래픽 디자인의 전통적인 정의에 도전합니다. 이 전시는 작업을 고정된 물리적 산물로 환원시키기보다 그의 웹 기반 작업을 NFC 태그가 내장된 오브제로 재해석해 관람객이 각자의 휴대 기기를 통해 원작에 접근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제안합니다.
이 전시는 단순히 민구홍 매뉴팩처링의 작업을 개괄하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그는 스스로 선택한 ‘소개의 소개’(introducing introduction)라는 형식을 통해 자신을 어떻게 드러내는지, 그리고 우리 또한 이 소개의 공간에서 어떻게 자신을 제시할 수 있을지 사유하는 장을 제안합니다. 전시를 관람하며 작품들과 연결되는 순간, 관람객의 스크린은 디지털 저작과 물리적 존재가 만나는 접점이 되며, 보는 행위는 곧 상호 소개의 행위로 확장됩니다.
글: 홍혜림, 한수비, 임수현
Introduction: Introducing an exhibition that introduces introduction
© 2025 Min Guhong Mfg. (Introducing Introduction) is a portable exhibition that explores the creative world of Min Guhong, a designer whose relationship with computers goes beyond utility. Over the past ten years, through his parasitic one-man studio Min Guhong Manufacturing, he has developed a body of work that is experimental, code-driven, and unapologetically web-native.
Min Guhong Manufacturing’s creations live almost entirely online—taking the form of websites, digital interfaces, and screen-based experiences. His fascination with code and commitment to self-publishing challenge traditional definitions of graphic design. Rather than converting his works into fixed, physical outputs, this exhibition reimagines them through objects embedded with NFC tags, allowing you to access and interact with the original web-based works using your own portable device.
This exhibition offers more than just an overview of Min Guhong Manufacturing’s work. It proposes a space to reflect on his chosen form of introducing introduction and how we too can present ourselves in this space of introduction. As you interact with the exhibition and connect with the selected works of introduction, your screen becomes a point of contact—where digital authorship meets physical presence, and the act of viewing turns into an act of mutual introduction.
Text: Hong Hyerim, Hahn Subi, Leem Suhyun
민구홍 매뉴팩처링 운영 지침
느닷없는 회사, 느닷없는 전시, 느닷없는 지침
“민구홍 매뉴팩처링은 민구홍이 오직 자신의 행복을 위해 자신을 편집한 결과물, 또는 그를 위한 편집 지침인지 모른다.” —임경용(미디어버스 대표)
계획하지 않은 기념, 덩달아 써버린 지침
2025년, 민구홍 매뉴팩처링은 어느덧 회사 설립 10주년을 맞았다. 하지만 민구홍 매뉴팩처링은 숫자에 민감할 만큼 둔하다. 몇 년째인지, 몇 번째인지, 몇 번째 제품인지조차 중요하지 않다. 민구홍 매뉴팩처링에서는 늘 그렇듯 ‘굳이…’ 또는 ‘굳이?’의 태도로 모든 기념을 무시해왔다. 따라서 축하도, 파티도, 심지어 보도 자료조차 계획에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support@minguhongmfg.com 앞으로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과 대학원생들의 이메일 한 통이 도착했다. “안녕하세요? (…) 민구홍 매뉴팩처링과 회사의 제품을 주제로 전시를 열고 싶습니다.” 느닷없는 제안이었다. 그리고 민구홍 매뉴팩처링은 느닷없는 제안에 둔할 만큼 민감하다. 운영자 민구홍은 잠시 고민에 빠졌다. 애초에 기념하지 않기로 마음 먹은 민구홍 매뉴팩처링의 10주년을 누군가 대신 기념해준다면 (또는 기념해준다고 믿으면) 전혀 마다할 이유가 없었다. 그렇게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과에서 열리는 전시는 느닷없이 민구홍 매뉴팩처링 설립 10주년 기념 전시가 됐고, 이 전시와 함께 덩달아, 그리고 느닷없이 『민구홍 매뉴팩처링 운영 지침』이 출간됐다. 아무것도 계획하지 않았지만, 무엇이든 계획처럼 보이게 된 순간이었다.
지침이지만 따르지 않아도 되는 (또는 따를 필요가 없는)
『민구홍 매뉴팩처링 운영 지침』은 지침서를 가장한 문학 작품이다. (또는 그렇게 보인다.) 규칙도 없고, 따라야 할 절차도 없다. 시와 소설, 픽션과 논픽션 사이에서 이 책은 묻는다. “정말 지침이 필요한가?” 그리고 스스로 대답한다. “지침이 필요 없다면, 그 자체로 하나의 지침이 될 수 있다.“ 이 책은 회사를 운영하는 방법을 전시하지 않는다. 대신 ‘회사를 어떻게 소개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반복한다. 말하는 순간 회사가 되고, 말하지 않으면 회사가 아닌 상태로 돌아가는 것. 이 책의 지침은 고정된 규범이 아닌 스스로를 말하고, 다시 말하고, 이따금 잊어버리는 과정을 기록한 결과물이다. 따라서 『민구홍 매뉴팩처링 운영 지침』은 완결되지 않기 위해 쓰인 지침이다. 어제의 문장이 오늘 수정되고, 오늘의 농담이 내일은 철학이 된다. 민구홍 매뉴팩처링을 경험해보지 못한 누군가에게 이 책은 실용적인 회사 운영 매뉴얼처럼 보일 수 있지만, 사실 계속해서 실패하고 유예되는 ‘회사 소개’다.
두 언어로 말하는 하나의 회사
민구홍 매뉴팩처링은 2015년 설립부터 웹상에서 자라났다. 국경도, 시간도, 형식도 없이 그저 자유로운 공간에서 자신을 소개해왔다. 이 지침 또한 자연스럽게 한국어와 영어라는 두 언어로 쓰였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번역의 정확성보다 두 언어가 서로를 비추고, 어긋나고, 다르게 울리는 틈이다. 한국어가 지닌 여백과 리듬, 영어가 만들어내는 어조와 간결함이 교차하며, 민구홍 매뉴팩처링이라는 회사를 두 가지 리듬으로 말하게 한다. 이중 언어 구성은 형식적 선택이 아닌 민구홍 매뉴팩처링에서 지난 10년 동안 실천해온 회사를 소개하는 방식이다. 언제나 하나를 두 가지 이상으로 말하고, 스스로를 반복하며 다르게 드러내는 것. 따라서 『민구홍 매뉴팩처링 운영 지침』은 그 실험의 또 다른 프로토타입이다.
사무실도 로고도 없이 반복되는 이름과 문장으로
민구홍 매뉴팩처링에는 눈에 보이는 상징이 없다. 로고는 없고, 전용 글자체도 없으며, 사훈은 ‘(웃음)’이다. 대신 반복되는 이름, 그리고 스스로를 소개하는 문장이 있다. 이 회사의 제품은 웹사이트이기도 하고, 단행본이기도 하며, 때로는 계획되지 않은 계획이나 시작되지 않은 업무이기도 하다. 민구홍 매뉴팩처링에서는 무엇을 만들었는지가 아닌 어떻게 말했는지, 그리고 그 말이 어떻게 남았는지가 중요하다. 『민구홍 매뉴팩처링 운영 지침』은 「민구홍이 민구홍 매뉴팩처링을 설립한 까닭은?」을 시작으로 「회사 개요」, 「기생과 공생」, 「무작위를 위한 작위」, 「계획을 위한 계획」, 「지침에 관한 지침」 등 스물일곱 가지 항목으로 이뤄져 있다. 각 항목은 엄격한 규율이 아닌 민구홍 매뉴팩처링의 태도와 어조를 드러낸다. 회사가 스스로를 말하는 방식, 실패를 기록하는 방식, 그리고 농담처럼 스쳐 지나가는 방식.
실현되지 않기에 더 정직한 계획
민구홍 매뉴팩처링에서 계획은 반드시 실현될 필요가 없다. 아니, 오히려 실현되지 않는 계획이야말로 민구홍 매뉴팩처링을 가장 잘 설명하는 장치다. 『민구홍 매뉴팩처링 운영 지침』의 마지막 항목 가운데 하나인 「계획을 위한 계획」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등장한다. 수프림(Supreme)과 함께 문장 기반 패션 브랜드를 론칭할 계획, 민음사에서 『회사 소개』라는 제목의 시집을 출간할 계획, 대한항공 전용기를 마련하고, 체리 한 알로만 출입 가능한 호텔을 운영할 계획, 심지어 로럴 슐스트나 인턴 백창인에게 회사를 인계할 계획까지. 모든 계획은 일정도 없고, 예산도 없으며, 추진 전략도 없다. 그저 상상되고, 말해지고, 반복되는 것만으로 존재한다. 민구홍 매뉴팩처링에게 계획은 ‘언젠가 할 일’이 아니라, 언젠가 하지 않을 수도 있는 가능성이다. 계획은 이행되기보다 말해지는 과정 속에서 윤리가 되고, 회사의 언어가 된다. 『민구홍 매뉴팩처링 운영 지침』 또한 어쩌면 실현되지 않을 수 있었던 계획이었다. 하지만 느닷없이, 그리고 덩달아 세상에 등장했다. 민구홍 매뉴팩처링은 오늘도 새로운 계획을 세운다. 실현할 생각은 잠시 미뤄둔 채.
전시와 지침, 서로를 소개하는 구조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과에서 열리는 전시는 그저 회사나 회사의 제품을 소개하는 전시가 아니다. 오히려 ‘회사 소개’라는 개념을 소개하는 전시라 말하는 편이 옳다. 전시에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과 귀중」, 「민음사 귀중」 같은 느닷없는 연애편지를 포함한 민구홍 매뉴팩처링의 제품과 이 책 『민구홍 매뉴팩처링 운영 지침』이 함께 놓인다. 전시와 책, 회사와 지침, 공간과 언어가 서로를 비추고 소개하는 구조는 민구홍 매뉴팩처링이 지난 10년 동안 집요하게 반복해온 실험의 축소판이다. 기념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지만 기꺼이 기념하고, 계획하지 않은 일을 계획처럼 수행하는 것. 민구홍 매뉴팩처링이 가장 민구홍 매뉴팩처링다운 방식으로 10주년을 맞이하는 순간이다.
말하는 순간 존재하는 회사
『민구홍 매뉴팩처링 운영 지침』은 책을 넘어 하나의 회사가 스스로를 어떻게 유지하고, 흔들리고, 다시 서술하는지 보여주는 서사적 장치다. 천천히 책을 읽다 보면 독자는 민구홍 매뉴팩처링은 대관절 무엇인지 다시 생각하게 된다. 민구홍 매뉴팩처링은 사무실도, 로고도, 숫자도 아닐 수 있다. 어쩌면 민구홍 매뉴팩처링은 말하는 순간에만 존재하는 회사일지 모른다. 그리고 민구홍 매뉴팩처링은 오늘도 조용히 미소 짓는다. ‘(웃음)’과 흡사한 분위기로.
Min Guhong Manufacturing Operational Guidelines
A Sudden Company, a Sudden Exhibition, a Sudden Manual
“Min Guhong Manufacturing may be the edited result of Min Guhong, created solely for his own happiness—or perhaps a set of editorial guidelines made for him.” —Lim Kyungyong (Director, Mediabus)
An Unplanned Anniversary, an Unintended Manual
In 2025, Min Guhong Manufacturing marked its 10th anniversary. And yet, Min Guhong Manufacturing is too dull to care about numbers. The exact number of years, iterations, or products hardly matters. As always, the company has ignored every form of commemoration with the attitude of “must we, really...?” or simply “must we?” No celebration, party, or press release was planned. Then one day, an email arrived at support@minguhongmfg.com from a group of graduate students at the Department of Desig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College of Fine Arts. “Hello. (...) We would like to hold an exhibition about Min Guhong Manufacturing and its products.” An unexpected proposal. And Min Guhong Manufacturing is sensitive—almost too sensitive—to such unexpectedness. The operator, Min Guhong, hesitated for a moment. But if someone else were willing (or believed themselves willing) to commemorate the 10th anniversary that the company had originally decided not to acknowledge—there was no reason to object. Thus, the exhibi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Department of Design became, without intention, a 10th-anniversary exhibition of Min Guhong Manufacturing. And alongside it, just as unintentionally, this Min Guhong Manufacturing Operational Guidelines was published. Nothing was planned, but everything ended up looking like a plan.
A Manual You Don’t Have to Follow (or Even Need)
The Min Guhong Manufacturing Operational Guidelines is a literary work in the guise of a manual. (Or at least it appears that way.) There are no rules. No procedures to follow. Somewhere between poetry and fiction, fiction and nonfiction, this book asks: “Do we really need a manual?” And answers itself: “If a manual is not necessary, then perhaps that is itself the manual.” This book does not present a method for running a company. Rather, it continuously asks the question, “How do you introduce a company?” The moment it is spoken, it becomes a company; the moment it is not, it returns to being something else. The guidelines are not fixed rules, but a record of the act of stating and restating, and occasionally forgetting. In that sense, the Operational Guidelines was written to never be complete. A sentence from yesterday may be revised today, a joke from today may become a philosophy tomorrow. To someone unfamiliar with Min Guhong Manufacturing, this book may appear to be a practical business guide—but in fact, it is a perpetually deferred and repeatedly failed “About” page.
One Company, Spoken in Two Languages
Since its founding in 2015, Min Guhong Manufacturing has grown online. It has introduced itself in a space without borders, time, or fixed formats. Naturally, this manual was written in both Korean and English. What matters here is not the accuracy of translation, but the way the two languages reflect, misalign, and resonate differently. The spaciousness and rhythm of Korean, the tone and conciseness of English—these two rhythms together voice the company. This bilingual composition is not a stylistic choice but a method of self-introduction that Min Guhong Manufacturing has practiced over the past decade: always saying one thing in more than one way, repeating oneself, and disclosing oneself differently. This manual is yet another prototype of that experiment.
A Company Without an Office or Logo, Defined by Repeated Names and Sentences
Min Guhong Manufacturing has no visible symbols. There is no logo, no custom typeface, and the company motto is “(laughter).” Instead, it offers a name that repeats itself, and sentences that endlessly introduce what that name might mean. Its products are sometimes websites, sometimes books, and sometimes unstarted projects or unplanned plans. What matters is not what is made, but how it is said—and how what was said remains. The Operational Guidelines is composed of 27 entries, beginning with “Why Did Min Guhong Establish Min Guhong Manufacturing?” and spanning items like “Company Overview,” “Parasitism and Symbiosis,” “Intention for Randomness,” “Planning for Planning,” and “Guidelines on Guidelines.” Each entry does not dictate policy, but reflects the tone and attitude of the company: the way it speaks of itself, the way it documents failure, and the way it slips by like a joke.
Plans More Honest Because They Are Unrealized
At Min Guhong Manufacturing, a plan does not have to be realized. In fact, it may be the unrealized plan that best represents the company. One of the final entries in this manual, “Planning for Planning,” describes ideas such as: launching a sentence-based fashion brand with Supreme, publishing a poetry book titled Company Introduction with Minumsa, operating a cherry-access-only hotel, acquiring a Korean Air jet, or handing the company over to Laurel Schwulst or intern Baek Changin. None of these plans has a timeline, budget, or execution strategy. They exist solely through imagination, utterance, and repetition. For Min Guhong Manufacturing, a plan is not something to be fulfilled “someday,” but a possibility that someday might never happen. Plans become ethics not through execution, but through the act of speaking. They become the company’s language. The Operational Guidelines was itself a plan that might never have been realized. But it appeared—suddenly, and unintentionally. Today, Min Guhong Manufacturing continues to make new plans, with no rush to realize any of them.
An Exhibition and a Manual That Introduce Each Other
The exhibi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Department of Design does not simply introduce a company or its products. Rather, it introduces the very concept of “introducing a company.” The exhibition includes Min Guhong Manufacturing’s products such as unexpected love letters like Dear Messrs. Department of Design, College of Fine Arts, SNU and Dear Messrs. Minumsa, alongside this Operational Guidelines. The structure—of an exhibition introducing a book, a book introducing a company, and a company introducing a way of speaking—forms a miniature version of the experiments that Min Guhong Manufacturing has obsessively repeated over the past ten years. Refusing commemoration, yet commemorating anyway; carrying out unplanned events as if they were planned. This is how Min Guhong Manufacturing meets its 10th anniversary in the most Min Guhong Manufacturing way possible.
A Company That Exists Only When Spoken
More than a book, the Operational Guidelines is a narrative device that shows how a company can sustain itself, waver, and restate itself. As one reads it slowly, they may find themselves questioning: what, exactly, is Min Guhong Manufacturing? It may not be an office, a logo, or a set of numbers. Perhaps Min Guhong Manufacturing is a company that exists only in the moment it is spoken. And today, once again, Min Guhong Manufacturing quietly smiles. With an air not unlike “(laugh).”